1. 공유결합
1-1. 화학 결합의 한 형태.
1-2. 공유(covalent) 또는 공유 전자쌍(covalent electron pair)은 루이스(Lewis)가 처음으로 제안.
1-3. 각각의 원자가 전자를 하나씩 공유하여 안정한 전자 배치를 형성.
ex) 두 수소 원자가 전자 두 개를 공유하면 전자 껍질을 완전히 채운 헬륨과 유사한 전자 배치를 보임.
2. 루이스(Lewis) 구조식
2-1. 전자를 점으로 나타낸 구조.
2-2. Lewis 모델은 원자가 껍질에 여덟 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는 두 번째 주기 원소에만 적용.
(Li, Be, B, C, N, O, F, Ne)
2-3. 팔전자 규칙
화합물을 형성할 때 전자를 잃거나 얻거나 또는 공유하여 8개의 원자가 전자가 된다.
2-4. 공유결합의 두 개의 전자를 선(-)으로 나타냄.
3. 이중결합 삼중결합
3-1. 전자쌍을 공유하여 결합을 한다는 루이스 개념의 확장.
3-2. 4개의 전자를 공유하면 이중결합
6개의 전자를 공유하면 삼중결합.
즉. 전자 2개를 하나의 선으로 표현하면
이중 결합은 선이 2개
삼중 결합은 선이 3개
4. 극성 공유결합(polar covalent bond)
4-1. 공유 결합 내의 전자가 두 원자에 동일하게 나누어 질 필요가 없음.
4-2. 한 원자가 다른 원자보다 전자를 끄는(당기는) 경향이 더 크다며 전자 분포는 쏠림 현상 발생.
이를 분극화 된다고 표현.
4-3. 극성 공유 결합 - 공유 결합 내의 전자가 분극화된 결합
5. 전기 음성도(electronegativity)
5-1. 공유 결합 내의 전자를 끌어당기는 경향.
5-2. 전기 음성적(electronegative) 원소 – 전자를 끌어당김.
전기 양성적(electropositive) 원소 – 전자를 제공.
5-3. 전기음성도는 주기율 표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커짐.
2주기 원소에서 전기음성도가 가장 큰 원소는 F(플루오린)
2주기 원소에서 가장 양성적은 원소는 Li(리튬)
5-4. 전기음성도는 족의 아래로 갈수록 줄어듬.
6. 이중극자(dipole)
6-1. 이중극자 – 양전하와 음전하의 중심이 분리되어 있으면서 형성.
6-2. 이중극자 모멘트(dipole moment, u) – 전하 e 에 두 전하 중심의 거리를 곱한 값.
u = e X d
- 양전하든 음전하든 크기가 같기 때문에 무관.
- 전자의 전하 = 4.80 X 10-10 esu(정전기적 단위) / 두 전하 중심의 거리는 10-8 정도
- 분자의 이중극자 모멘트는 10-18 esu.cm 범위의 값.
- 10-18 esu.cm 값을 debye, D로 정의.
ex) HF(플루오린화수소)의 이중극자 모멘트는 1.7 X 10-18 esu.cm = 1.7 D 라고 표기.
6-3. 극성(polar) 분자 – 이중극자 모멘트 가짐.
비극성(nonpolar) – 이중극자 모멘트 없음.
극성이 되려면 극성 결합을 가져야 함.
각 극성 결합의 이중극자를 서로 상쇄시키는 모양을 되면 이중극자모멘트 사라짐.
이중극자 모멘트 개념을 알아야 하는 이유!!!
why?
이중 극자의 방향과 크기에 영향을 받는 반응이 있기 때문에!!
방문 감사드립니다.
공감/댓글은 제작에 도움이 됩니다.
Written by K-Lab Zone (K-LZ)
2023.06.19 - [배워보자/화학 강의(Chemistry Course)] - [화학 강의] 1. 유기화학 원론_원자,전자,오비탈
[화학 강의] 1. 유기화학 원론_원자,전자,오비탈
[화학 간단 정리] 1. 화학 강의_일반화학, 유기화학 기초 과정_원자,전자,오비탈 프롤로그(Prologue) 화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화학 구조를 알아야 한다. 어떤 물질의 성질은 그 물질을 이루고 있는
yobebe.tistory.com
2023.06.23 - [배워보자/화학 강의(Chemistry Course)] - [화학 강의] 2. 유기화학 원론_일반화학, 유기화학 기초과정_이온결합
[화학 강의] 2. 유기화학 원론_일반화학, 유기화학 기초과정_이온결합
[화학 간단 정리] 2. 화학 강의_일반화학, 유기화학 기초과정_이온결합 프롤로그(Prologue) 원자는 서로 결합하여 원자와는 다른 성질을 가진 화합물(compound)을 형성. 화합물에서 원자 사이의 끄는
yobebe.tistory.com
'배워보자 > 화학 강의(Chemistry Course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화학 강의]4. 유기화학원론/일반화학 - 양전하, 음전하, 형식전하 계산, 루이스 구조식 그리는 법, 공유결합 내의 형식전하, 비공유전자쌍 형식전하 (0) | 2023.07.30 |
---|---|
[화학 강의] 완전 쉽게 설명하는 화학 이야기 - 농도의단위 : 몰랄농도(molality) 의미와 사용 및 계산법 (1) | 2023.07.07 |
[화학 강의] 완전 쉽게 설명하는 화학 이야기 – 용액, 용매, 용질 무엇인가? (0) | 2023.07.02 |
[화학 강의] 완전 쉽게 설명하는 화학 이야기 – 유효숫자 갯수 표기 방법 (0) | 2023.07.02 |
[화학 강의] 완전 쉽게 설명하는 화학 이야기 - 농도의단위 : ppm을 % 단위로 변환 (0) | 2023.07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