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elcome to K-Lab Zone

배워보자/화학 강의(Chemistry Course)

[화학 강의] 완전 쉽게 설명하는 화학 이야기 – 유효숫자 갯수 표기 방법

yobebe 2023. 7. 2. 18:05
반응형

어떤 측정이나 실험이든지

측정값의 정밀도를 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.

실험적으로 측정한 값이나

계산으로 얻은 값을 표현하기 위해

사용한 숫자의 갯수를

유효숫자(significant figure) 의 갯수라고 한다.

유효 숫자를 정하는 방법을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.


[ 유효숫자 예시 ]

일반 저울로 측정한 골프공의 질량 : 35.4 g

⇒ 세 개의 유효숫자

분석 저울로 측정한 골프공의 질량 : 35.4418 g

⇒ 여섯 개의 유효숫자

※ 끝자리를 제외한 나머리 자리의 숫자들은 모두 확실하다고 본다.

맨 끝자리의 숫자는 단지 추측된 것으로 오차를 갖는다.


[ 유효숫자의 개수를 정하는 규칙 ]

1. 수의 중간에 있는 영은 다른 숫자와 같이 취급

[예시] 5.704 cm

네 개의 유효숫자 : 5, 7, 0, 4


2. 수의 처음에 오는 영(0)은 유효하지 않다.

이것은 자리수를 표시하는 역할만 한다.

[예시] 0.00818 g

세 개의 유효숫자 : 8, 1, 8


3. 소숫점 뒤에 오고 수의 마지막에 있는 영(0)은 언제나 유효하다.

유효하지 않았다면, 쓰지 않았을 것이라고 가정하기 때문이다.

[예시] 65.760 g

다섯 개의 유효숫자 : 6, 5, 7, 6, 0


4. 소숫점 앞에 오고 수의 끝쪽에 있는 영(0)은

유효할 수도 있고 안할 수도 있다.

측정값의 일부인지

자리수를 나타내기 위한 것인지 알 수 없다.

[예시] 42,700 g

세 개의 유효숫자 : 4, 2, 7

다섯 개의 유효숫자 : 4, 2, 7, 0, 0

이런 경우는 과학적 표기법으로 나타내면 유리하다.

42,700

세 개의 유효숫자 일 경우, 4.27 x 104

다섯 개의 유효숫자 일 경우, 4.2700 x 104


5. 값 자체가 참값인 경우는 무한대 갯수의 유효 숫자를 가진다.

[예시]

일주일은 7일

일주일은 6.9 또는 7.1 이 아니다.


다음은 몇 개의 유효숫자를 가지고 있는가 ?

[문제 1] 0.0547238 m

정답 : 6개

[문제 2] 8.2200 X 10-3 kg

정답 : 5개

[문제 3] 82,200 km

정답 : 3개 또는 4개 또는 5개

[문제 4] ₩5,000

정답 : ₩5,000은 참값


방문 감사드립니다.

공감/댓글은 제작에 힘이 됩니다. ^^

Written by K-Lab Zone (K-LZ)

 


2021.12.13 - [배워보자/과학(Science)] - [과학] 완전 쉽게 설명하는 과학 이야기 - 단위 환산

 

[과학] 완전 쉽게 설명하는 과학 이야기 - 단위 환산

< 단위 환산 > 한 단위계로 얻은 결과를 다른 단위계로 환산하는 방법을 단위 인자 방법(Unit factor method) 또는 단위의 차원분석(dimensional method)라고 한다. 처음부터 표현이 생소하고 어렵다. 쉽게

yobebe.tistory.com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