어떤 측정이나 실험이든지 측정값의 정밀도를 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. 실험적으로 측정한 값이나 계산으로 얻은 값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숫자의 갯수를 유효숫자(significant figure) 의 갯수라고 한다. 유효 숫자를 정하는 방법을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. [ 유효숫자 예시 ] 일반 저울로 측정한 골프공의 질량 : 35.4 g ⇒ 세 개의 유효숫자 분석 저울로 측정한 골프공의 질량 : 35.4418 g ⇒ 여섯 개의 유효숫자 ※ 끝자리를 제외한 나머리 자리의 숫자들은 모두 확실하다고 본다. 맨 끝자리의 숫자는 단지 추측된 것으로 오차를 갖는다. [ 유효숫자의 개수를 정하는 규칙 ] 1. 수의 중간에 있는 영은 다른 숫자와 같이 취급 [예시] 5.704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