배워보자/화학 강의(Chemistry Course)

[화학 강의] 완전 쉽게 설명하는 화학 이야기 - 몰농도

yobebe 2021. 12. 19. 22:57
반응형

 

 

[ 몰 농도(molarity, M) ]

 

 

일반적으로 화학 반응에서의 계산을 하기 위해서는 몰수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

 

용액의 농도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.

 

용액 1 L (liter)에 용해된 물질(용질)의 몰수이다.

 

즉, 용액의 몰농도는 용질의 몰수를 용액의 리터 수로 나누어서 얻는다.

 


 

[ 몰농도의 용액을 만들기 ]

 

 

1) 잘못된 용액 제조

 

1.00 L 용매에 용질의 녹여서 만든다.

 

→ 최종 용액 부피는 용질의 추가된 부피로 인해 1.00 L 보다 조금 많게 된다.

 

 

2) 올바른 용액 제조

 

1. 용질을 용기에 넣는다.

 

2. 용질이 적당히 녹을 정도의 용매를 첨가하면서 용해시킨다.

 

3. 최종 부피에 도달할 때까지 용매를 첨가한다.

 

4. 용질과 용매가 완전히 섞일 때까지 흔들어준다.

 


 

[ 몰농도 사용 ]

 

몰농도는 용액의 부피와 용질의 몰수를 상호 연관시키는 변환 인자로 사용할 수 있다.

 

즉, 몰농도와 용액의 부피를 알면, 용질의 몰수를

 

용질의 몰수와 용액의 몰농도를 알면, 용액의 부피를 알 수 있다.

 

용질의 몰수(mol) = 몰 농도(M) X 용액의 부피(L)

 


[문제 1 ]

 

 

염산의 농도는 12.0M이다. 이 용액의 500ml 속에는 몇 몰의 HCl이 있는가?

 

→ 문제를 통해 몰 농도(M)와 용액의 부피를 알 수 있다.

 

그러면 위의 설명에 따라 염산의 몰수(mol)을 계산할 수 있다.

 

 

용질의 몰수(mol) = 몰 농도(M) X 용액의 부피(L)

 

 

몰농도에서 용액의 단위는 리터(L)로 정의했기 때문에

 

제시된 문제의 500ml를 리터(L)로 먼저 단위 환산한다.

 

1000 ml = 1 L

 

500 ml = 0.5 L

 

 

 

 

1 L = 1000 ml 단위 환산 인자를 사용하여 계산식을 사용하면

 

12.0 M는 12 mol / L 이다. 계산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.

 

 

 

12.0M의 500ml에는 HCl 6.00 mol이 있다. 라고 표현한다.

 

몰농도을 이해해서 화학의 세계에 입문해 보세요.

 


 

방문 감사드립니다.

 

Written by K-Lab Zone (K-LZ)

 

 

 

 

2021.12.19 - [배워보자/과학(Science)] - [과학] 완전 쉽게 설명하는 과학 이야기 – 몰(mole)

 

[과학] 완전 쉽게 설명하는 과학 이야기 – 몰(mole)

몰(mole) 화학양론에서 주로 거론되는 단위이다. 물질의 화학량을 측정하는 단위이고, 약자는 mol이라고 부른다. mole 는 라틴어 ‘더미’라는 의미이다. 연필 한 다스(dozen)는 12개 이와 같이 물건의

yobebe.tistory.com

 

반응형